논문 작성
-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여 전자우편으로 제출한다(○○○@konkuk.ac.kr)
- 응모 논문의 첫 페이지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록한다.
- 논문제목: (한글) (영문)
- 저자명: (한글) (영문) (논문의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제1저자와 공동저자를 구분하고, 논문 관련 교신 저자는 이름 옆에 (교신저자)로 따로 표시하여 적는다. 별도로 기재된 사항이 없으면 가장 먼저 소개된 저자를 제1저자로 한다.)
- 소속기관명: (한글) (영문)
- 직위:
- 주요 관심 분야:
- 주소:
- 전화번호: (사무실) (휴대폰)
- 전자메일:
- 논문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, 의미 혼동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( )안에 한자 또는 원어를 병기한다. 외국인의 인명은 원어 그대로 쓴다.
- 15줄 내외로 논문 내용을 요약하여 논문 제목 바로 다음 부분에 제시한다. 요약문 아래에는 주제어를 2-4개 제시하며, 필요시 괄호 안에 원어를 병기한다.
- 영문초록을 1,000단어 이내로 작성하여 참고문헌 다음 부분에 제시한다. 영문초록 아래에는 주제어를 2-4개 제시한다.
- 논문은 이하에서 제시할 편집 기준에 따라 작성한다. 논문의 기본분량은 20쪽으로 한다.
논문 편집 기준
- 편집 용지
- 용지 종류: A4
- 용지 여백: 위쪽·아래쪽 40, 왼쪽·오른쪽 40, 머리말 15, 꼬리말 10
- 논문 제목
- 글자모양: 휴먼명조, 크기 20, 장평 97, 자간 -3, 진하게
- 문단모양: 줄간격 160, 들여쓰기 0, 가운데 정렬, 문단위 간격 34
- 요약
- 글자모양: 휴먼명조, 크기 9.5, 장평 97, 자간 -3, 좌우여백 10
- 문단모양: 줄간격 155, 들여쓰기 10
- 장, 절 등
- 1단계(Ⅰ, Ⅱ, Ⅲ, …) :
휴먼명조, 크기 15, 장평 97, 자간 -3, 진하게, 줄간격 175, 가운데 정렬, 들여쓰기 0, 문단위아래 간격 8.5, 14.2 - 2단계(1, 2, 3, …) :
휴먼명조, 크기 13, 장평 97, 자간 -3, 진하게, 줄간격 175, 들여쓰기 0, 문단위아래 간격 8.5> - 3단계(가, 나, 다, …) :
휴먼명조, 크기 12, 장평 97, 자간 -3, 진하게, 줄간격 175, 들여쓰기 10, 문단 아래 2.8 - 4단계( 1), 2), …) :
휴먼명조, 크기 12, 장평 97, 자간 -3, 줄간격 175, 들여쓰기 20, 문단아래 1.4 - 마.5단계( 가), 나), …) :
휴먼명조, 크기 11, 장평 97, 자간 -3, 줄간격 175, 들여쓰기 20
- 1단계(Ⅰ, Ⅱ, Ⅲ, …) :
- 본문
- 글자모양: 휴먼명조, 크기 10.5, 장평 97, 자간 -3
- 문단모양: 줄간격 175, 들여쓰기 10
- 인용문
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기술하고, 긴 경우(3행 이상)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.
따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 부분의 아래위를 본문에서 한 줄씩 비우고 다음과 같이 한다.
- 글자모양 : 휴먼명조, 크기 9.5, 장평 97, 자간 -3
- 문단모양 : 줄간격 150, 들여쓰기 10, 왼쪽여백 25
- 인용 문헌
-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 연도 또는 발행 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.
(예 1) 이 문제에 관하여 유관순(2001)은 …
(예 2) 유관순(2001: 15-16)은 … -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부분 말미에 괄호를 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 연도, 해당 면 등을 표시한다. 참고문헌이 여럿일 경우에는 문헌들 사이를 쌍반점( ; )으로 가르고,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 한국, 중국, 일본, 서양의 인명 순으로 열거한다.
(예 1) …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(홍길동, 2001: 18).
(예 2) 한 연구(홍길동, 2001; Anderson, 1999)에 의하면 … - 저자가 다수일 경우 6인까지는 모두 표시하되, 7인 이상은 첫 번째 저자만 나타내고 그 이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.
(국문) 유관순 외(2001)
(영문) Sink, C. A. et al.(2000)라.재인용의 경우
(유관순, 2001에서 재인용, p.10)
-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 연도 또는 발행 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.
- 각주
- 글자모양 : 휴먼명조, 크기 9.5, 장평 97, 자간 -3
- 문단모양 : 줄간격 125, 내어쓰기 17
- 참고문헌
- 참고문헌 제목 :
휴먼명조, 크기 13, 장평 97, 자간 -3, 줄간격 170, 들여쓰기 0, 가운데 정렬, 문단위아래 간격 8.5, 14.2 - 참고문헌 본문 :
휴먼명조, 크기 10, 장평 97, 자간 -3, 줄간격 120, 내어쓰기 30, 문단아래 간격 4.3 -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 한국, 중국, 일본, 서양 서적 순으로 열거한다.
- 아래에 예시한 것 이외의 서양 참고문헌 작성법은 APA(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, 2001, 5th ed.)의 양식을 따른다.
- 단행본의 경우
유관순(2000). 창의력. 서울: 공공출판사.
유관순, 홍길동(2001). 창의력과 자기효능감. 서울: 공공출판사.
Dewey, J. (1910). How we think. MA: Boston Press.
※ 한글로 된 책이나 논문집 이름, 권 (호수 제외)은 진하게 하며 저자와 연도 사이는 붙이고, 영문으로 된 책이나 논문집 이름, 권 (호수 제외)은 이탤릭으로 하며 저자와 연도 사이를 뜀. -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의 경우
유관순, 홍길동(2001). 열린교육 평가를 위한 연구. 교육학연구, 39(2), 143-166.
Grow, G. O. (1991). Teaching learning to be self-directed. Adult Education Quarterly, 41(3), 18-23.
- 편저일 경우
안신호(1997). 직장인이 추구하는 삶의 의미. 김명언, 박영석(편), 한국 기업문화의 이해 (pp. 388-440). 서울: 오름.
Yalom, I. V. (1994). Momma and the meaning of life. In B. Yalom (Ed.), Yalom Readers (pp. 155-200).
NJ: Prentice-Hall.
Hennessey, B. A., & Amabile, T. M. (1999). Consensual assessment. In M. A. Runco, & S. R.
Pritzker (Eds.), Encyclopedia of creativity (pp. 347-360). Oval Road, London: Academic Press.
※ 반드시 해당 페이지를 밝힐 것 - 역서일 경우
Negroponte, N.(1996). 디지털이다〔Being digital〕. (백욱현 역). 서울: 커뮤니케이션 북스. (원서 1995 출판).
Laplace, P. S. (1951). A philosophical essay on probabilities (F. W. Truscott & F. L. Emory, Trans.).
NY: Dover. (Original work published 1814). - 학위논문의 경우
유관순(2000). 기독교 신앙 행동의 측정과 분석. 박사학위논문. 한국대학교 신학대학원. -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의 경우
최상진(1999). 문화심리학: 그 당위성, 이론적 배경, 과제 및 전망. 한국심리학회
하계심포지움 문화와 심리학, 1-20. 8월 20일. 서울: 연세대학교 제 2인문관. - 신문기사의 경우
동아일보(2001.9.23). “사이버 대학 1학기 수강생 10명 중 8명 꼴 재등록,” 19면.
이시형(2001.3.12). “대통령의 말실수.” 조선일보, 6면. - ERIC 자료일 경우
Lillard, A. S. (1998). Playing with a theory of mind. In O. N. Saracho, & B. Spodek (Eds.), Multiple perspectives on play in early childhood (pp. 11-33). Albany: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. (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. ED426776) - 한 저자의 같은 해에 발행된 다수의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
이철수(1995a).
이철수(1995b).
- 참고문헌 제목 :
- 영문초록(Abstract)
- 영문초록 제목 :
휴먼명조, 크기 13, 장평 97, 자간 -3, 굵게, 줄간격 130, 들여쓰기 0, 가운데 정렬 - 영문초록 본문: 본문 스타일과 동일
- 영문초록 제목 :
- 표와 그림
-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, 표에는 <>, 그림에는 [ ]과 같은 괄호를 사용하고, 표의 제목은 상단에, 그림의 제목은 하단에 제시한다.
(예) <표 1>, [그림 1] - 표와 그림은 원본 그대로를 인쇄할 수 있도록 저자가 완벽하게 만들어 제출한다
- 표와 그림을 다른 문헌에서 인용하였을 경우 표와 그림의 하단에 출처를 밝힌다
- 부호를 사용할 때의 글씨체 및 띄어쓰기는 다음과 같다.
- p, F, t는 이탤릭체로 쓴다. 단 M, N, SD는 신명조체로 한다.
- 부호 사이는 반칸 띄어쓴다(예: p<.001,F(1,129)=2.71,t=4.52).
반칸은 “Alt” Key 와 “space bar”를 동시에 눌러서 실행한다.
-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, 표에는 <>, 그림에는 [ ]과 같은 괄호를 사용하고, 표의 제목은 상단에, 그림의 제목은 하단에 제시한다.
- 부록
부록은 논문 맨 뒤의 영문초록 다음 쪽에 첨부한다.